먼저 ftz 이미지를 다운받는다.
http://noplanlife.com/?p=606
원래는 레드햇 9.0과 ftz 이미지를 다운받은다음에, 레드햇에서 ftz이미지를 마운트시키고 이것 저것 설정을 해주어야
하지만, 누군가 이미 그러한 설정을 마친 상태의 레드햇 9.0을 (친절하게도) vmware player에서 open만 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나서 레드햇 9.0을 가상머신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해 vmware player를 다운받는다.
https://my.vmware.com/web/vmware/free#desktop_end_user_computing/vmware_player/7_0
2014년 12월 31일 현재 최신버전은 2014년 12월 1일에 release된 7.0버전이다
그런데 현재 7.0버전은 64비트용만 나와있으므로 32비트를 쓰는 나는 6.0.4버전을 받았다.
참고로 vmware workstation은 기업용(유료)이고, vmware player는 개인용(무료)이라고 한다.
vmware player를 실행한 후 오른쪽 메뉴에 보이는 Open a Virtual Machine을 선택해, 아까 받은 파일들 중
Red Hat Linux.vmx 파일을 로드한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이미 누군가 레드햇 9.0에 ftz서버를 구축한 이미지를
vmware에서 바로 open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기 때문에 별도로 새로운 가상 머신을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레드햇 9.0을 시작하면..
management 및 networking feature들을 설정하기 위해서 이 vm이 moved된건지, copied된건지 알아야 한다고 한다.
좀 찾아보니 I moved it 혹은 I copied it 둘 중에 아무거나 선택해도 상관 없다고 해서 나는 I copied it을 선택.
부팅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묻는데, 아이디는 root, 패스워드는 hackerschool을 입력
한다.
접속에 성공하면 ifconfig를 입력해 inet addr 주소가 몇인지 확인한다. 이 주소로 SSH 연결을 하면 된다.
putty를 사용해서 연결을 해보았다.
연결이 잘 된다. 여기서부터는 원격지의 ftz 서버에 접속할 때 처럼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Wargames > hackerschool ftz'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tty를 이용해 ftz에 접속하기 (3) | 2014.12.30 |
---|---|
윈도우즈 텔넷을 이용해 ftz에 접속하기 (0) | 201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