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


먼저 putty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실행한다.





Session -> Host Name에 ftz.hackerschool.org를 입력하고, Connection type은 Telnet으로 설정한다음 Open을


눌러보자. (혹시 Host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 발생 시 도메인 주소 대신 115.68.23.201를 입력한다)





접속은 되었지만 한글이 깨져서 내용을 볼 수가 없다.


putty를 닫고 다시 실행한다음에 Window -> Translation 으로 가보자.





Character set translation의 Remote character set이 UTF-8로 되어있을 것이다. UTF-8 대신에 Use font encoding을


선택해준다. 이렇게 설정하고 나니 한글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Window -> Appearance로 가서 Font settings의 Change를 눌러서





이렇게 글꼴은 굴림체로, 스크립트는 한글로 바꿔준다. 이렇게 해주는 이유는 putty로 ftz서버에 접속했을 때 한글은


안깨져서 나오지만, 한글을 입력해야 할 경우 한글 입력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까지 설정을 마쳤으면 Session으로 돌아가서 다시 ftz.hackerschool.org에 접속해본다.





접속이 제대로 된다.


아, 참고로 putty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값들을 기본적으로 저장하지 않아서 매번 들어갈 때 마다 설정을 일일이


바꿔줘야 한다. 이럴 때에는 설정을 다 마치고 난 다음에





Saved Sessions에 자신만의 이름을 주고서 Save해두면 나중에 putty를 실행했을 때 해당 이름을 Load해서 자신이


설정했던 값들을 불러올 수 있다. 나의 경우 ftz로 만들어두었다.






'Wargames > hackerschool ftz'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z서버 직접 구축하기  (0) 2014.12.31
윈도우즈 텔넷을 이용해 ftz에 접속하기  (0) 2014.12.30
Posted by huammmm1
,